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행사

  • Home
  • 소식
  • 뉴스·행사
울산시 환경기초시설 인프라 '전국 최고'
작성일
2013.09.23
조회수
594

울산시가 전국 최고 환경기초시설 인프라 구축을 완료, 생태환경도시로 자리매김했다.

시는 19일 대대적인 환경기초시설 인프라 구축 사업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밝혔다.

1일 처리 10만t 규모의 농소수질복원사업소가 2016년 2월 준공되면 하수처리시설은 9개로, 처리능력도 1일 79만9000t으로 늘어난다.

생활폐기물을 처리하는 성암소각장 증설과 매립장 확장 공사가 지난해 말 준공됐다. 앞으로 80년 이상 처리할 수 있는 규모다. 시의 하수시스템 및 생활폐기물의 안정적 처리 기반이 완벽히 구축되는 셈이다.

◇농소수질복원사업소 착공, 시 전체 하수처리시스템 마무리

중구와 북구지역의 하수처리를 위해 1850억 원을 투입, 1일 10만t 규모의 농소수질복원사업소를 2월 착공, 2015년 9월 종합시운전을 거쳐 2016년 2월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

그동안 동천강은 하천수량 부족으로 건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농소수질복원사업소가 문을 열면 1일 10만t 규모의 하천유지수가 공급됨으로써 하천 생태계 복원과 수질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농소수질복원사업소는 굴화하수처리장에 이어 하수처리시설을 지하화하고 상부엔 체육시설 및 생태공원을 만든다.

농소수질복원사업소가 건립되면 시는 1일 79만9000t의 처리능력을 갖춰 사실상 하수처리체계가 완성된다.

시는 부족한 환경 기초시설 인프라 확충을 위해 지난해 말 현재 하수처리시설 등에 7860억 원을 투자했다. 2015년까지 총 1조1862억 원을 들인다.

지역별로 보면 태화강 수질개선과 유지용수 확보를 위해 2004년 1일 6만t 처리규모의 언양하수처리장(728억 원)을 준공했다. 1일 4만7000t 처리할 수 있는 굴화하수처리장(950억 원)을 2012년 9월부터 가동 중이다.

최근 이상기온으로 인한 가뭄현상으로 태화강 유지용수가 고갈되고 있는 실정이나 언양 및 굴화하수처리장의 방류수 7만여t이 태화강 유지용수로 재이용돼 태화강 유지용수 확보와 생태계 보전에 기여할 전망이다.

시는 중점적으로 태화강 생태계를 복원, 회귀어종인 황어·연어·은어의 이동통로도 확보했다.

동구와 북구 지역의 하수처리를 위해 1일 10만t 처리규모의 방어진하수처리장과 강동권 개발에 따라 1일 5000t 처리규모의 강동하수처리장을 운영함으로써 동천강과 연안해역 수질오염 방지에 성과를 내고 있다.

울산석유화학단지 입주업체의 폐수처리 부담 완화를 위해 1일 8만5000t 규모의 용암폐수처리시설(1085억 원)을 2011년 6월 준공해 기업의 경쟁력을 지원하는 한편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기존 회야·용연·온산하수처리장을 고도처리시설화(855억 원)함으로써 회야강과 연안해역 수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울주군 소규모 자연마을 10곳의 하수처리시설(293억 원)도 2015년까지 시설한다.

이로써 시의 하수처리 능력은 광역시 승격 당시 40만2000t에서 80만여t으로 2배 가까이 늘어났다.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율 96%로 전국 최고

시는 하수처리시설의 연계시설인 하수관로사업도 지속적으로 벌이고 있다.

2012년 말 현재 하수관로 부설현황은 총 4013㎞에 이른다. 이 중 분류식 하수관로 설치율 96%로 서울 14.4%, 부산 23.9%, 인천 36.7%, 대구 37.7%, 광주 56.7%, 대전 43.2%와 비교할 때 전국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

동구와 북구지역 방어진하수처리구역에 방어진 하수관거정비 임대형 민자사업(BTL)으로 하수관로(989억 원) 129㎞를 2011년 준공함으로써 하수처리장 운영효율 증대와 시설물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북구와 울주군 지역의 산재된 하수처리구역에 대한 하수관로 281㎞를 부설(1332억 원) 중이다. 중구와 남구 지역의 기존 시가지 노후 오수관로 65㎞를 정비(380억 원)하는 한편 2015년까지 울주군 온산·온양지역의 자연부락 하수관로(100억 원) 57㎞도 정비한다.

하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하수슬러지는 그동안 해양 투기해 왔다. 2012년부터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됨에 따라 하수슬러지의 안정적 처리를 위해 1일 300t 처리규모의 하수슬러지 처리시설(320억 원)을 2011년 1월 준공해 모든 하수슬러지를 소각처리함으로써 해양투기 금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해양생태계 보전에도 한몫하고 있다.

시는 악취민원이 잦은 30년 경과된 여천천변 위생처리시설(300t/일 규모)을 온산하수처리장으로 이전, 연계처리하기 위해 170억 원을 들여 2011년부터 내년 4월 준공 목표로 공사하고 있다.

◇소각장 증설 및 매립장 대폭 확장

과거 생활폐기물은 주로 매립처리했다. 현재는 재활용품과 음식물을 분리해 재활용하고 소각장을 건설해 가연성 쓰레기를 소각, 에너지를 회수함으로써 수익 창출은 물론 매립물량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시의 생활폐기물 처리현황을 보면 1981년 12월~1989년 2월까지 삼산매립장(삼산지구), 1989년 2월~1994년 3월까지 삼산매립장(여천지구)을 이용했고 1994년 4월부터 현재까지 성암매립장을 사용하고 있다.

1995년 울산시·군 통합 이전에 울주군에서 운영하던 온산매립장(1차), 통합 이후에 건설된 온산매립장(2차)이 있다. 1차는 1995년 12월 매립종료, 2차는 2011년 12월 매립종료하고 성암매립장(매립률 95%)으로 일원화했다.

시는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생활폐기물 처리시설의 확보를 위해 2004년 입지 선정을 시작으로 민간투자사업(BTO) 방식의 성암 소각장 증설 및 매립장 확장공사(1630억 원)를 2009년 10월 착공, 2012년 10월 준공해 소각용량 일 250t 증설, 매립용량 61만5000㎥을 확보했다.

이로써 생활폐기물 소각용량은 기존시설 1일 400t을 포함해 1일 650t으로 늘렸다. 가연성 쓰레기를 전량 처리가능하고 부피도 줄여 매립장 사용연한을 연장했다.

성암 확장 매립장은 40년간 사용할 수 있으며 이후 2단계 40년 매립용량 부지도 추가 확보했다.

자원회수시설 민간투자사업은 GS건설과 한라산업개발이 참여한 전문업체인 울산그린(주)에서 운영, 시민들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는 생활쓰레기의 소각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 스팀을 생산해 2008년 6월부터 (주)효성 용연공장에 공급하고 있다.

2012년 10월 증설 소각장이 준공, 가동됨에 따라 향후 연간 최대 53만7600t(시간당 70t)의 스팀을 생산, 공급한다. 이는 연간 최대 320억 원의 화석연료 절감효과(울산시 연간 최대 170억 원, 효성 용연공장 150억 원)가 예상된다.

아울러 성암 생활폐기물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LFG : Landfill Gas)는 2002년 11월부터 포집, 기수분리 등 과정을 거쳐 현재 소각장의 보조연료로 활용, 에너지 비용을 덜고 있다.

시는 성암동 생활폐기물 처리시설의 소각열, 매립가스(LFG), 사후관리 매립장 토지이용 등을 활용하는 '환경에너지 타운'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부대시설로 홍보관을 설치해 시민들에게 생활폐기물 처리 과정 견학을 통한 생활쓰레기 친환경적인 처리 및 자원화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 있다.

◇음식물쓰레기 공공물량 100% 처리 및 에너지화 달성

시는 2012년부터 축산분뇨, 2013년부터 음폐수 해양투기가 금지되는 런던협약 '96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음식물쓰레기 공공물량 100% 처리 및 에너지화를 위해 용연SBK 바이오가스화시설 유치 및 온산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 설치사업을 진행했다.

기초자치단체의 퇴비화 공법 등 악취민원과 가동중단에 따른 처리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2007년부터 전국에서 처음으로 광역단위 바이오가스화 기술을 도입했다.

용연 바이오가스화시설은 스웨덴의 스칸디나비안 바이오가스(SBF)사의 선진 바이오공법으로서, 하수처리장 소화조(7000N㎥) 내 하수슬러지와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해 35℃내외 중온에 25일간 발효시켜 미생물 반응에 의한 바이오가스(2만6000N㎥/일)를 생산한다. 2011년 3월부터 가동에 들어가 인근 (주)SK케미칼에 바이오가스를 판매해 연간 30억 원의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2009년 환경부 시범사업으로 온산 유기성 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230억원)도 설치해 정상가동을 위한 시운전 중이다.

이 시설은 음식물쓰레기 100t과 가축분뇨 50t을 처리하는 최첨단 바이오가스화시설로서, 시에서 발생되는 공공 음식물쓰레기 250여t 전량을 용연 및 온산 바이오시설에서 에너지화할 수 있다. 그 동안 해양배출금지에 따라 처리에 애로가 있었던 소규모농가와 대곡댐 상류지역에서 발생되는 축산분뇨 50t도 안전하게 처리한다.

공공물량 250t 이외에도 민간처리시설 물량 일부(20여t/일)를 공공시설로 유입, 처리함으로써 공공물량 일부를 민간처리시설에 위탁처리하고 있는 다른 광역시와 대조된다.

에너지(바이오가스) 생산시설에서 하루 스팀 77t을 생산해 (주)한국제지에 공급함으로써 연간 7억여 원의 세외수익과 기업체 에너지 절감효과도 거둘 전망이다.

◇세계 선진도시 수준 대기질 개선 박차

시는 7대 도시 최상의 대기질 달성과 2020년까지 세계 선진도시 수준의 대기질 개선을 위한 '대기질개선 중장기 종합대책 세부시행계획'을 수립해 청정연료 정책, 산업체 환경시설 개선 유도, 생활 속 미세먼지 저감 등 대기질 개선사업을 순조롭게 시행하고 있다.

1998년부터 공동주택 등 난방용 연료는 도시가스로 교체하고 있다. 울산화력발전소의 0.3% B-C유 발전시설이 2014년 1월 폐지되고 발전시설 신설 때 LNG 복합발전시설을 유도하는 등 산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연료를 LNG로 전환하고 있다.

2011년 12월엔 대기질 개선을 위한 지역배출허용기준을 설정해 합리적인 연료정책 추진방안을 확립했다.

생태산업단지 구축으로 기업체에서 생산활동 후 버려지는 폐자원을 자원화하고 폐열을 재사용하는 등 환경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 연간 13만1597toe(석유환산톤)의 에너지를 절감하고 황산화물 등 연간 4052t의 대기오염물질을 줄였다.

기업체 기획점검을 통해 기업체 스스로 환경오염 시설을 개선토록 했다. 2010년부터 현재까지 61개사, 879건, 3269억 원 시설투자했으며 대기오염물질을 연간 4554t 저감했다.

시는 공단 내 산업체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자율적 환경관리협약을 체결(2012. 3.), 2016년까지 대기오염물질 7188t 줄이기로 했다. 원유처리정제업을 시작으로 유해대기오염물질 비산배출 저감을 위한 시설관리기준이 단계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그에 따른 관리대책을 이행한다.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생활 속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해 '미세먼지 저감 특별대책'을 수립(2013. 2.)해 청소차량에 미세먼지 저감필터를 장착하고 학교 흙운동장 먼지 억제사업을 벌이고 있다. 나아가 도로변 먼지를 줄이기 위해 진공노면청소차량 보급 등을 진행하고 있다.

도로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시내버스를 경유에서 천연가스버스로 98% 교체했다. 올해 안 100% 보급한다.

경유화물차에 대한 매연저감장치 장착, LPG엔진 개조, 조기폐차 지원 등 저공해화 사업을 펼쳐 총 2194대를 보급했다. 친환경차량인 전기자동차를 보급(9대)함으로써 자동차 배출가스로 인한 대기오염을 줄여 쾌적한 도심 대기환경을 만들고 있다.

중소업체 저녹스버너 설치(315개 사업장 412대)로 질소산화물 배출을 연간 108t 감소시키고 있다.

다량의 비산먼지를 발생시키고 있는 울산항 석탄부두에 비산먼지 저감시설을 보강(2011. 12.), 사료부두에 보관창고 11개동 6만2261㎡를 신설(2012. 6.)했고 비산먼지 발생사업장 245곳을 점검해 먼지 발생을 억제한다.

시는 2020년까지 선진도시 수준의 대기질 개선을 위해 아황산가스 0.005ppm, 미세먼지 40㎍/㎥, 이산화질소 0.020ppm, 오존 0.022ppm을 목표로 지속적으로 대기질 개선사업을 전개해 나간다.

대기질 개선 중장기 종합대책과 세부시행계획을 2011년 3월과 8월 수립해 실천하고 있다.

대기질 개선 중장기 종합대책은 3대 분야 12개 전략, 50개 세부시행계획으로 이뤄져 있다. 시 본청 4개국 11개과(경제통상3, 환경녹지4, 도시2, 교통건설2)가 참여한다.

2013년 8월 5일부터 7일까지 중국 연대시에서 개최된 동아시아(한·중·일) 경제교류 추진기구 환경부회에 참석, 시의 대기질 개선 중장기 종합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미세먼지 등 각 회원도시(3개국 10개도시)의 대기오염 상황을 공유하고 상호 도울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함으로써 동아시아 광역 대기질 개선과 국제 환경협약 강화가 기대된다.


원본기사 보기
출처: 뉴시스(2013.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