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행사

  • Home
  • 소식
  • 뉴스·행사
<뇌연구원 왜, 어떻게 만드나>
작성일
2011.06.03
조회수
554
제목 없음

연합뉴스에 따르면,

   
뇌질환·뇌응용 연구 거점…DGIST 허브로 서울대·KAIST 등과도 연계

   앞으로 우리나라 뇌 연구 분야의 허브가 될 한국뇌연구원의 윤곽이 드러났다.

   뇌 연구는 생명공학(BT)·정보통신(IT)·나노기술(NT)·인지과학(CS) 등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산업 창출이 가능한 영역. 특히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 진입과 함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분야다.

   이미 미국은 1990년 '뇌 연구 10년'을 선언했고, 일본도 1993년에 21세기를 '뇌 연구의 세기'로 규정한 바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1998년 '뇌연구촉진법' 제정을 통해 이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 의지를 밝힌 뒤 2007년부터 국내 뇌 연구 역량을 집중할 수 있는 거점 연구기관, 이른바 한국뇌연구원 설립 구상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결국 4년여 만인 3일 교육과학기술부가 가장 민감하고 중요한 요소인 입지와 유치기관을 확정함에 따라, 선진국 수준의 첨단 뇌 연구원이 현실로 성큼 다가왔다.

   이날 발표된 '한국뇌연구원 설립 추진계획안'에 따르면 연구원은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 부설연구소로서 대구 동구 혁신도시 '첨단의료복합단지' 안에 부지 5만2천㎡, 건물 1만9천54㎡ 이상 규모로 들어선다.

   총 1천600억~1천7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데, 이 가운데 정부가 설계비·운영비·연구개발비 등 638억원을 내고 나머지 약 1천억원의 부지 매입 및 건축 관련 비용은 해당 지자체인 대구시와 경상북도가 부담한다.

   인력의 경우 개원 초기인 2014년 50여명 선에서 200~300명 규모로 늘려갈 계획이다.

   연구원을 이끄는 원장의 임기는 3년이며 연임이 가능하다. 원장은 조직·인사권 등 독립 경영을 위한 전권을 갖는다.

   연구원 운영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개방형·네트워크형 연구'이다. 현실적으로 최종 유치기관 및 입지로 선정된 대구·경북-DGIST 컨소시엄이 독자적으로 진행하기에는 다소 버거운 연구 과제인 만큼 다른 지역의 대학, 연구기관과의 공조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조율래 교과부 연구개발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연구원이 '허브(바퀴축)' 역할을 맡고 나머지 대학이나 연구기관이 '스포크(바퀴살)'로서 연계하게 될 것"이라며 이른바 연구원의 '허브-스포크' 전략의 개념을 설명했다.

   2014년께 문을 열면 연구원은 3대 연구분야(뇌의약학·뇌공학·뇌과학·뇌인지)와 4대 기반분야(뇌치료·뇌이해·뇌제어·뇌계발)를 중심으로 △고령화사회 대비 뇌질환 극복(뇌질환 진단 및 치료 기술 등) △차세대 뇌정보처리 및 응용(인공감각센서·뇌컴퓨터 등) △과학·사회·문화 융합 뇌기능 강화(학습·정서 프로그램 등) 등 3가지 과제 해결을 위한 연구에 매진하게 된다.
과학기술계는 연구원 유치기관 첫 공모(2009년 11월) 이후 거의 1년반 동안 지지부진하던 첨단 프로젝트가 다시 추진되는 것을 반기면서도, 일정 등의 이유로 복수 지자체-연구기관 컨소시엄 간 경쟁이 이뤄지지 않은 사실을 아쉬워하고 있다.

   서울대의 경우 당초 파트너였던 인천시가 공모 의사를 철회하자, 다른 지자체와 컨소시엄을 이뤄 다시 응모할 기회를 정부와 심의회 측에 요청했다가 규정과 일정 등의 이유로 거절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본기사 보기
출처: 연합뉴스(2011.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