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행사
- Home
- 소식
- 뉴스·행사
[충북 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문제는 영속성"]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참석해 "충북도와 LG가 손잡고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바이오·뷰티, 친환경에너지 분야 창조경제를 선도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장에선 61개 기업·기관이 이런저런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충북형 창조경제'를 실현해보자는 것이었다.
충북도는 이 센터가 '전국대비 충북경제 비중 4% 실현'이란 민선 6기 지상과제를 해결할 사령탑이 될 것이란 장밋빛 청사진을 내놨다.
LG그룹은 LG화학, LG하우시스 등 계열사를 통해 충북의 바이오·제로에너지 분야에 앞으로 1조6000억원을 쏟아붓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지난해 9월 15일 대구(삼성), 10월 10일 대전(SK), 11월 24일 전북(효성), 12월 17일 경북(삼성), 올해 1월 27일 광주(현대차)에 이어 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는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6번째로 문을 열게 됐다.
LG가 이날 진행한 센터 개소식은 내용 면에서 6군데 개소식 중 가장 훌륭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단순히 행사가 매끄럽게 진행됐다는 점에서 나온 평가는 아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센터 개소식을 한 후 1개월 안에 비영리법인인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위원회'에 '사업계획'을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도 충북혁신센터 개소식에선 비교적 구체적인 내용이 언급됐다. LG가 보유한 특허 등 지적재산 2만7396건을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에 개방한다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것이 신기술에 목마른 중소기업을 살리는 마중물이 될지 주목된다.
하지만, 과연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이렇게 엄청난 파급효과를 일으킬 것이냐는 점에 대해선 이견도 존재한다.
가장 크게 우려되는 점은 영속성을 보장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학습효과일까. 박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자마자 창조경제 육성이란 큰 틀의 정책방향이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벌써 나온다.
기우에 불과하다고 볼 수도 있지만, LG가 1조6000억원을 투자하겠다면서 제시한 투자기간은 3년이다. 공교롭게도 박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는 시점과 맞아 떨어진다.
충북도의 역할에 관해서도 회의적인 시각이 있다. 혁신센터에 관여하는 부분은 운영비를 지원하고 행정적인 뒷받침을 하는 게 고작이다.
도는 혁신센터 운영비 명목으로 매년 10억원씩 지원할 예정이다. 물론 50대 50 매칭조건에 따라 국비도 매년 10억원씩 센터에 투입된다.
한 달 안에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위원회에 올리게 돼 있는 사업계획서에 충북도와 LG가 어떤 구상을 담을지 주목된다.
원본기사 보기
출처: 뉴시스(2015.02.04)
작성일
2015.02.10
조회수
352
충북의 전략산업의 허브 기능을 담당할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문을 열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참석해 "충북도와 LG가 손잡고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바이오·뷰티, 친환경에너지 분야 창조경제를 선도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장에선 61개 기업·기관이 이런저런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충북형 창조경제'를 실현해보자는 것이었다.
충북도는 이 센터가 '전국대비 충북경제 비중 4% 실현'이란 민선 6기 지상과제를 해결할 사령탑이 될 것이란 장밋빛 청사진을 내놨다.
LG그룹은 LG화학, LG하우시스 등 계열사를 통해 충북의 바이오·제로에너지 분야에 앞으로 1조6000억원을 쏟아붓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지난해 9월 15일 대구(삼성), 10월 10일 대전(SK), 11월 24일 전북(효성), 12월 17일 경북(삼성), 올해 1월 27일 광주(현대차)에 이어 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는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6번째로 문을 열게 됐다.
LG가 이날 진행한 센터 개소식은 내용 면에서 6군데 개소식 중 가장 훌륭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단순히 행사가 매끄럽게 진행됐다는 점에서 나온 평가는 아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센터 개소식을 한 후 1개월 안에 비영리법인인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위원회'에 '사업계획'을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도 충북혁신센터 개소식에선 비교적 구체적인 내용이 언급됐다. LG가 보유한 특허 등 지적재산 2만7396건을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에 개방한다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것이 신기술에 목마른 중소기업을 살리는 마중물이 될지 주목된다.
하지만, 과연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이렇게 엄청난 파급효과를 일으킬 것이냐는 점에 대해선 이견도 존재한다.
가장 크게 우려되는 점은 영속성을 보장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학습효과일까. 박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자마자 창조경제 육성이란 큰 틀의 정책방향이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벌써 나온다.
기우에 불과하다고 볼 수도 있지만, LG가 1조6000억원을 투자하겠다면서 제시한 투자기간은 3년이다. 공교롭게도 박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는 시점과 맞아 떨어진다.
충북도의 역할에 관해서도 회의적인 시각이 있다. 혁신센터에 관여하는 부분은 운영비를 지원하고 행정적인 뒷받침을 하는 게 고작이다.
도는 혁신센터 운영비 명목으로 매년 10억원씩 지원할 예정이다. 물론 50대 50 매칭조건에 따라 국비도 매년 10억원씩 센터에 투입된다.
한 달 안에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위원회에 올리게 돼 있는 사업계획서에 충북도와 LG가 어떤 구상을 담을지 주목된다.
원본기사 보기
출처: 뉴시스(2015.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