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반도체·연구개발 (CG)
[연합뉴스TV 제공]
혁신성장 BIG3 회의…반도체 R&D 생태계 확충방안 논의
(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반도체 분야 정부 연구개발(R&D)에 민간이 자유롭게 참여하고 의견을 낼 수 있도록 한국반도체산학연연구협의회(가칭) 설립이 추진된다.
효율적 정책 조율과 사업 추진을 위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반도체 R&D 범부처 협의 체계 신설도 검토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18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서대문구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제16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에서 '반도체 R&D 생태계 및 인프라 확충방안'이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됐다고 밝혔다.
해당 안건에는 ▲ R&D 투자·전략 및 제도 ▲ 개방형 혁신체계 ▲ 반도체 연구 인력 ▲ 반도체 연구 인프라 등에 대한 정책 방향이 포함됐다.
반도체 R&D 범부처 협의 체계는 R&D 투자와 전략을 고도화하기 위해 관계부처 협의를 거친 뒤 설립이 추진된다.
반도체 핵심 원천 기술과 인력을 미리 확보하기 위해 국가반도체연구실지원사업(가칭)을 통한 '한 우물 파기' 연구도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국가반도체연구실지원사업 대상으로 선정되면 최대 10년간 원하는 분야를 꾸준히 연구할 수 있게 된다.
반도체 R&D가 연구 계획에 맞춰 제대로 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기획 단계부터 기초·원천 연구, 실용 연구로 특화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대형 사업의 경우 산학연 공동 연구도 적극적으로 권장된다.
정부는 인력 부족을 호소하는 반도체 기업들을 위해 기업과 정부가 1대1 매칭을 통해 기술 개발 과정에서 인력을 양성하고 이를 채용과 연계하는 '민관 공동투자형 R&D 기반 인력 양성 사업'도 할 계획이다.
지역별로 흩어진 나노 인프라 역량을 모으기 위해 원스톱 통합정보서비스 시스템도 구축된다. 정부는 원스톱 통합정보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기관별 보유장비와 공정 가능 기술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지역 내 반도체 연구 생태계 강화를 위해 나노종합기술원 등 전국 6대 공공 나노팹(나노기술을 적용한 소재 등의 시제품 제작, 시험평가 등을 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춘 곳) 이외에 반도체 장비, 연구 역량을 갖춘 연구기관 등을 찾아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에 포함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kiki@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원본기사 보기
출처: 연합뉴스(2021.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