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울산=뉴시스]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제네시스 생산라인 전경. (사진=현대자동차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김성진 기자 = 글로벌 완성차 판매시장 위축에 상반기 국내 자동차 업체의 생산·내수는 감소했지만, 수출 물량과 금액은 모두 최고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2년 상반기 및 6월 자동차 산업 동향(잠정)'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자동차 생산 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한 177만9044대로 집계됐다.
올해 상반기 월별 생산량은 지난 2월 이후 전월 대비 지속 증가해 글로벌 생산국 순위 5위(5월 누적)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는 출고 지연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신차 출시 효과가 둔화되면서 역대 세 번째 판매실적을 기록한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11.3% 감소한 80먄7605대 판매를 기록했다.
베스트 셀링카(승용) 상위 5위는 모두 국산차가 차지했다. 1위는 그랜저(3만3672대)였으며, 이어 ▲쏘렌토(3만1777대) ▲아반떼(2만7636대) ▲카니발(2만7502대) ▲ 펠리세이드(2만7034대)순이었다.
수출 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107만4321대로, 생산량이 감소하고 우크라이나 사태, 인플레이션 등 수출 여건이 악화됐지만, 코로나19 발생 이후 반기 기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수출 금액 역시 3.2% 증가한 243억5000만 달러로, 수출물량 증가와 친환경차 비중 확대로 코로나19와 반도체 수급난 기저효과를 넘어 2014년 상반기(252억3000만 달러) 이후 최고 실적이었다.
친환경차 내수는 전년 동기 대비 34.3% 증가한 21만474대로 집계됐으며, 수출물량은 37.7% 증가한 25만1878대, 수출금액은 73억1000만 달러(+42.7%)로 모두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친환경차 내수는 전체 자동차 판매의 26.1%로 올해 상반기 판매된 신차 4대 중 1대가 친환경차로 나타났다. 수출은 수소차를 제외한 전 차종의 두 자릿수 증가 등으로 지난해 하반기에 이어 연속으로 20만대를 상회했다.
상반기 자동차 부품 수출도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인한 공급망 차질에도 완성차 판매호조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118억 달러였다.
◆6월 자동차 생산 소폭 증가…내수·수출 물량은 감소
지난달 국내차 생산은 중국 봉쇄 해제로 부품 수급 상황이 일부 호전되면서 조업일수 감소(2일)에도 불구하고, 전년동월 대비 0.8% 증가한 32만8360대로 집계됐다.
반면 내수는 출고적체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화물연대 운송거부에 따른 출하 차질까지 겹쳐 전년동월 대비 11.9% 감소한 14만6102대를 기록했다.
수출 물량은 전년 동월 대비 5.7% 감소한 17만3061대, 수출 금액은 2.7% 감소한 39억4000만 달러로 3개월 만에 물량과 금액 모두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다만 수출금액은 상대적으로 수출단가가 낮은 경형 자동차를 제외한 다른 차종의 수출물량이 축소돼 감소했지만, 부가가치가 높은 친환경차의 수출호조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상회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생산량이 증가했음에도 출하 차질과 선박 일정으로 인한 선적 지연이 수출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친환경차 내수는 전년 동월 대비 14.1% 증가한 3만9493대,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20.9% 증가한 3만7156대로 내수·수출 모두 6월 최고 실적을 거뒀다. 수출 금액도 23.9% 증가한 11억1000만 달러로 1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이상 증가를 보였다.
특히 내수의 경우 지난 2월 이후 5개월 연속 두 자릿수로 증가했으며, 하이브리드차의 최다 판매기록(2만5443대)에 힘입어 역대 월 판매실적 3위를 달성했다.
지난달 자동차 부품 수출은 화물연대 운송거부 기간 동안 주요 항만 물동량 감소 등으로 인해 전년 동월 대비 3.8% 감소한 18억8000만 달러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ksj87@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본기사 보기
출처: 뉴시스(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