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올해 상반기 콘텐츠산업 매출 66.9조원…수출액은 7.2조원
작성일
2022.12.20


2022년 상반기 콘텐츠산업 규모(추정치) 매출액, 수출액, 종사자 인포그래픽
[한국콘텐츠진흥원 제공]



문체부·콘진원 '2022년 상반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보고서 발간
영화 성장률 가장 큰 폭…웹툰 플랫폼 해외 진출 등 주요 이슈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올해 상반기 국내 콘텐츠 산업은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에서 회복세가 이어지며 매출과 수출액 모두 지난해 동기 대비 증가세를 나타냈다.

19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2022년 상반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콘텐츠 산업 매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7.0% 증가한 약 66조9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분야별로 보면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영화가 58.1%로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음악(31.7%)과 만화(23.2%), 캐릭터(10.0%)가 그 뒤를 이었다.

영화 산업은 거리두기 완화 등 사회적 변화로 인해 관객이 증가하고, '범죄도시2'와 '마녀2' 등이 흥행하며 상반기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다만, 영화 매출액 증가 폭은 코로나19 기저효과에 따른 것으로 매출 규모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올해 상반기 콘텐츠 산업 수출액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0.5% 증가한 약 54억9천만 달러(약 7조2천억 원)로 조사됐다.

영화(51.8%)와 만화(27.9%), 음악(26.2%), 광고(26.1%)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출판(-34.2%)과 지식정보(-4.7%), 게임(-1.4%) 수출액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국내 콘텐츠 산업 종사자 수는 작년 동기 대비 1.6% 증가한 65만2천여 명으로 집계됐다.

만화(26.7%), 영화(9.1%), 지식정보(3.7%), 콘텐츠솔루션(3.7%) 분야 종사자 수가 증가했고, 캐릭터(-0.8%), 출판(-0.4%)은 소폭 감소했다. 그 외 산업은 종사자 수 변화가 크지 않았다.

올해 상반기 주요 이슈로는 ▲ 국내 주요 웹툰 플랫폼의 해외 진출 ▲ 콘텐츠 지식재산권(IP)의 다각화로 성장 활로를 모색하는 게임산업 ▲ 위드코로나 전환 이후 회복세가 가속화되는 영화산업 ▲ MZ세대의 새로운 콘텐츠 이용행태 등을 꼽았다.

이번 보고서는 콘텐츠 산업 11개 분야의 2022년 상반기 주요 동향을 분석하고, 사업체 2천500곳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결과와 상장사 149곳의 자료 분석을 통해 매출·수출·고용 등 주요 산업 규모를 추정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누리집(www.kocca.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mimi@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원본기사 보기

출처: 연합뉴스(2022.12.19.)

메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