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스타트업 천국' 경기도, 2026년까지 G-펀드 1조원 조성
작성일
2023.03.02


23일 오후 판교 스타트업캠퍼스 창업라운지에서 열린 경기도 G-펀드 조성 및 투자활성화 업무협약식에서 김동연 도지사와 협약 관계자 등이 비전선포 세레머니를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수원=뉴시스] 박상욱 기자 = 경기도가 '스타트업 천국'을 만들기 위해 2026년까지 1조 원 규모의 G-펀드를 조성한다. G-펀드는 최근 김동연 지사의 임기 내 100조 원 투자유치 선언과 함께 경기도 경제성장의 양 날개가 될 전망이다.

김 지사는 23일 성남 판교 경기스타트업캠퍼스 창업라운지에서 강성천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장, 신현삼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장, 윤건수 한국벤처캐피탈협회장, 신진오 한국액셀러레이터협회장과 '경기도 G-펀드 비전선포 및 협약식'을 열었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경기도는 기회의 땅이다. 경제 역동성을 살리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며 "G-펀드를 통해 창업할 수 있는 기회, 연구개발할 수 있는 기회 등 많은 기회를 드리겠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이들 기관은 2026년까지 1조 원 규모의 G-펀드 조성을 통해 투자 생태계 활성화와 기업성장을 지원한다. ▲유망 중소·벤처기업 발굴 및 참여 홍보 ▲투자기업의 기술개발, 판로확대, 경영지원 등 성장 지원 ▲도내 투자생태계 확산을 위한 정보공유, 네트워크 확대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1조 원 대 G-펀드 조성은 김동연 지사의 공약사항이다.

도는 1999년부터 지난해 12월 말까지 총 21개 펀드 6712억 원을 조성했다. 청산된 펀드를 제외하고 현재 기술독립·탄소중립·디지털전환 등 11개 펀드(정책펀드 9개·모펀드 2개) 4702억 원을 운용 중이다. 이 중 2026년까지 청산될 예정인 펀드 자금은 1037억 원으로, 2026년이면 3665억 원 규모의 펀드를 운영하게 된다.

도는 올해부터 2026년까지 총 980억 원을 출자해 최소 6700억 원 규모의 펀드자금을 모집할 계획이다. 980억 원 이외에 나머지 자금은 민간출자자금 등을 통해 조달된다. 이렇게 조성한 자금은 스타트업 펀드, 탄소중립 펀드, 경기북부균형발전 펀드 등으로 구분돼 투자될 예정이다.

이처럼 도는 2026년까지 운용될 예정인 도는 2026년까지 운용될 예정인 기존 3665억 원 규모의 펀드와 새롭게 조성할 최소 6700억 원을 더해 1조 원 이상의 G-펀드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도는 지난해 2월 기존 정책펀드에 '모펀드'를 추가 조성하는 G-펀드 운용전략을 수립한 바 있다. '경기도형 모펀드'는 1년 단위로 예산을 편성하는 정책펀드와 달리, 기존 정책펀드의 정산 회수금을 투자기금으로 적립해 안정적으로 출자와 운용을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2026년까지 운용될 예정인 기존 3665억 원 규모의 펀드는 청산 시 모펀드에 적립돼 계속 장기 운용되면서 미래·기반 산업 분야에 투자를 하게 된다.

6700억 원 규모의 펀드 조성을 위해 출자되는 올해 경기도의 투자자금은 200억 원으로 지난해 110억 원에 비해 82% 확대됐다. 도는 300억 원까지 매년 출자 규모를 늘려 투자 규모를 지속 확대할 예정이다.

이는 정부운용 모태펀드가 2022년 5200억 원에서 2023년 3135억 원으로 40% 감축된 것과 상반된다.

이런 투자 확대 의지와 글로벌 기업 투자 유치 실적, 경제전문가 '김동연 프리미엄'이 합쳐지면서 도는 민선8기 출범 6개월 만에 1710억 원 규모의 펀드 조성에 성공했다. 특히 탄소중립펀드 1호는 목표액 300억 원을 3.4배 웃도는 1030억원을 결성했다.

한편, 김 지사는 이날 행사에서 초소형 프린터와 즉석 문신기계, 스마트 글래스 등 G펀드 투자를 받아 개발한 제품들을 직접 시연하며 창업가들과 자유롭게 대화를 나눴다.

김 지사는 "반도체, 바이오, 정보기술,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미래산업을 통해 경기도와 대한민국의 경제를 견인하겠다"며 "전통 제조업도 소홀히 하지 않겠다. 특히 경기북부의 특성에 맞는 기업과 산업의 육성을 통해 경기도가 대한민국 경제와 성장의 기관차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w78@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본기사 보기

출처: 뉴시스(2023.02.23.)

메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