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한·튀르키예 FTA 10년…상품무역 74%·수출 70%↑
작성일
2023.05.04

[서울=뉴시스]이현주 기자 = 한국과 튀르키예가 FTA를 체결한 뒤 10년 동안 상품무역 규모가 74% 이상 증가했다.

한국무역협회(KITA)는 2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한-튀르키예 FTA 10주년 체결 효과 및 과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FTA 발효 10년간 양국의 상품무역은 2012년 52억2000만 달러에서 91억1000만 달러로 74.4%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 기간에도 양국 간 교역은 꾸준히 성장해 2021년 처음으로 80억 달러를 넘어선데 이어 지난해에는 90억 달러를 초과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대(對) 튀르키예 수출은 FTA 발효 전 45억5000만 달러에서 77억2000만 달러로 69.7% 늘었다. 주요 수출 품목은 합성수지, 철강판, 석유 화학 합성 원료, 의약품,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등으로 나타났다.

수입은 FTA 발효 전 6억7000만 달러에서 13억9000만 달러로 106.7% 증가했다. 주요 수입품목은 의약품, 의류, 자동차·항공기 부품 등이었다.

튀르키예를 상대로 한 한국 무역 흑자는 무역 규모 성장세와 유사한 추이를 보이며 증가세를 지속했다.

양국 간 서비스 무역은 FTA 발효 전인 2017년 5억1000만 달러에서 발효 후 2021년 4억9000만 달러로 소폭 감소했다.

튀르키예에 대한 직접 투자는 FTA 발효 후 5년간(2018~2022) 연평균 2억2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발효 전(2017년 1억4000만 달러) 대비 54% 증가했다.

아울러 우리 기업은 튀르키예의 과도한 수입규제조치, 튀르키예는 만성적인 대 한국 무역적자 개선을 양자 간 통상현안으로 지적했다.

지난달 기준 튀르키예는 한국 상품에 대해 반덤핑 조치 10건, 세이프가드 조치 5건 등 총 15건의 수입 규제 조치를 시행 중이다. 튀르키예는 한국에 대한 무역적자를 이유로 한-튀르키예 FTA 개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지속 전달 중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lovelypsyche@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본기사 보기

출처: 뉴시스(2023.05.01.)

메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