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디지털 미디어·콘텐츠 투자 활성화 및 금융지원 확대방안 발표와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행사를 서울 1인 미디어 콤플렉스에서 개최했다. (사진=심지혜 기자)
과기정통부-기업은행-IPTV, 투자 활성화 및 금융지원 협력
정부 1000억, 정책금융기관 800억, 산업계 3400억 등
[서울=뉴시스] 심지혜 기자 = 정부가 미디어·콘텐츠 업계 투자 활성화를 위해 선봉장에 섰다. 우수한 콘텐츠를 육성하고 해외 진출과 지식재산권(IP) 확보를 위해서는 자금의 원활한 공급이 중요하다고 판단, 금융·산업계와 손잡고 5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 미디어·콘텐츠 투자 활성화 및 금융지원 확대방안 발표와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행사를 서울 1인 미디어 콤플렉스에서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행사 자리에는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김성태 IBK기업은행장,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 겸 한국전파진흥협회장(RAPA), 정한근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장(KCA), 이태현 웨이브 대표, IPTV 3사 임원 등이 참석했다.
미디어 플랫폼은 IPTV·온라인동영상플랫폼(OTT) 등 인터넷 기반 매체로의 중심 이동에 더해 넷플릭스 등과 같은 글로벌 기업과의 치열한 경쟁을 겪고 있다. 이뿐 아니라 제작비 급증으로 인하여 경영환경 악화를 맞이했다.
게다가 국내 OTT는 시장의 성장세 하락과 제작비 증가로 적자 폭도 심화되는 추세다. 국내 콘텐츠 제작사는 제작비를 충당할 자체 자금이나 외부 조달 역량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글로벌 OTT와의 계약시 IP를 확보하지 못하고 흥행에 따른 수익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대형 콘텐츠의 경우 투자 여력이 충분한 글로벌 OTT만 제작이 가능해 콘텐츠 쏠림 우려도 제기된다. OTT 투자 규모도 국내·외 사업자 간 격차가 커 경쟁력을 근본적으로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과기정통부는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함으로써 디지털 미디어·콘텐츠 업체의 제작비 급증 대응, IP 확보, 글로벌 진출 등을 위한 자금 수요에 대응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정책금융기관과 산업계, 나아가 해외로까지 투자와 금융 지원의 외연을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투자 펀드 조성하고 대출·보증 지원…산업계도 투자 약속
우선 과기정통부는 3대 디지털 미디어·콘텐츠(OTT, 메타버스, 크리에이터)에 집중 투자하는 펀드를 1000억원 규모로 신규 조성해 투자 마중물 역할을 확대한다.
세부적으로 ▲OTT와 크리에이터 분야의 미디어·콘텐츠 프로젝트나 지분에 투자하는 글로벌 디지털 미디어 펀드와 ▲메타버스·확장현실(XR)·가상현실(VR) 등을 활용하는 미디어·콘텐츠 기업에 투자하는 디지털 콘텐츠 펀드의 조성을 추진한다.
이외에도 미래 유망산업에 투자하는 1조5000억원 규모의 금융위원회 주관 혁신성장 펀드, 우체국 VC 펀드 등 공공펀드의 중점 투자 분야에 미디어·콘텐츠 분야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투자 확대를 이끌어낼 예정이다.
또 정책금유기관을 통해 800억원 규모의 투자와 대출·보증이 이뤄질 수 있도록 돕는다. 먼저 기업은행이 우수 미디어 스타트업에게 향후 3년간 100억원을 투자하는(올해 20억원 이상) ‘미디어 스타트업 투자 프로그램’을 과기정통부 지원 사업과 연계한다.
신용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과 미디어·콘텐츠 기업에게 올해 약 700억원 규모의 대출·보증을 제공한다. 과기정통부가 제작 역량 및 성장 가능성을 평가해 기업을 추천하고, 정책금융기관은 추천 기업들 중 상환 가능성 등 여신심사를 통하여 우대 조건으로 자금을 공급하는 절차로 진행된다.
산업계를 통해서는 3400억원의 수준의 투자를 유도한다.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 IPTV 3사는 3000억원 규모로 계획한 콘텐츠 공동수급 브랜드 '아이픽'을 통해 콘텐츠 투자를 확대한다. IPTV 뿐만 아니라 OTT에도 제공될 수 있는 콘텐츠에 투자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 이동통신 3사가 ICT 산업 발전을 위해 출자한 KIF 펀드(2023년 총 440억원 조성)의 주요 투자 분야에 디지털 미디어·콘텐츠를 포함시키기로 했다.
글로벌 투자자본 유치도 추진한다. 먼저 한·아랍에미리트(UAE) 정상회담 성과에 대한 후속조치로 UAE 국부펀드에 국내 OTT 등 디지털 미디어 기업에의 투자를 제안하고 협의를 지속 추진한다.
이와 함께 ▲민·관 합동 디지털 수출개척단(아세안·미주·중동) ▲아시아 콘텐츠 어워즈 & 글로벌 OTT 어워즈 ▲MIPCOM 등 국제 콘텐츠 마켓 및 행사에서 글로벌 차원의 투자설명회을 열고 투자사 미팅을 주선할 예정이다.
"투자 환영…대한민국 경제 활력 키우는 마중물 기대"
현장에 참석한 미디어·콘텐츠 산업계 기업인들은 이번 정책에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이태현 웨이브 대표는 국내·외 사업자 간 공동투자에 대한 금융 및 정책지원을, 최문석 에이스트리 이사는 K-콘텐츠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부·민간의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남창원 트리니들 대표와 여주엽 올블랑 TV 대표는 미디어 스타트업과 크리에이터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특화된 지원을 희망했다.
김성태 기업은행장은 "정부, 산업계, 금융계가 동 업무협약을 통해 디지털 미디어·콘텐츠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일조하고 대한민국 경제 활력을 키우는 마중물이 되길 희망한다며, 정책금융 지원을 위해 과기정통부와 지속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디지털 미디어·콘텐츠에 대한 투자 및 금융지원 확대에 적극적인 협력을 약속한 기업은행과 IPTV 3사, 유관기관에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 장관은 "금융기관, 미디어·콘텐츠 산업계와 협력한 투자 활성화 방안을 철저히 실행하겠다"며 "디지털 미디어·콘텐츠 산업 전반에 자금 공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iming@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본기사 보기
출처: 뉴시스(2023.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