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6G 기술 개발사업 예타 통과…"5G 한계극복 대역대 개발"
작성일
2023.08.24


제2차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장관회의
(서울=연합뉴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지난 21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스마랑에서 열린 '제2차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장관회의'에 참석해 있다. 2023.8.22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6G 산업 기술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5G 통신에서 3.5㎓ 대역이 가진 용량 한계와 28㎓의 통신 가능 범위(커버리지) 한계를 극복하는 7∼24㎓(어퍼미드밴드) 대역 기술 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6G 산업 기술개발 사업이 4천407억원 규모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자 보도참고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7∼24㎓에 대해 기존의 5G 서비스가 사용하는 3.5㎓ 대역과 동일한 위치에 기지국을 깔아 3.5㎓와 같은 커버리지를 제공하면서도 용량은 10배 제공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최근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와 퀄컴, 에릭슨, 노키아 등 세계적인 통신장비 제조사도 6G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 이 대역을 주목하고 있다는 것이 과기정통부 설명이다.

과기정통부는 5G 핵심 부품으로 꼽히는 대용량 다출입 안테나 기술(massive MIMO)보다 4배 이상 성능이 높은 초대용량 다출입 안테나 기술(E-MIMO)과 안테나 부품을 제어하는 IC칩을 개발해 우리나라가 6G 서비스의 글로벌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대부분 외산에 의존하고 있는 기지국, 광통신 등의 핵심부품을 국내 기술로 개발해 통신장비·부품 공급망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했다.

csm@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원본기사 보기

출처: 연합뉴스(2023.08.23.)

메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