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서울=뉴시스] 국내에 진출한 KRPIA 회원 31개사 연도별 R&D 투자 비용. (사진=KRPIA 제공) 2024.11.1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5년간 R&D 투자 연평균 15.9% 증가
[서울=뉴시스]송연주 기자 = 글로벌 제약기업들의 국내 임상연구에 대한 투자액이 최근 5년간 연평균 15.9%로 늘어났다.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는 국내에 진출한 글로벌 제약사 31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4년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R&D 비용과 연구인력에 대한 조사 결과 보고서'를 12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글로벌 제약사가 2023년 한 해 동안 국내 임상연구에 투자한 R&D 총비용은 8729억원으로 전년 대비 6.7% 증가했다. 2019~2023년 5년간 연평균 15.9%의 지속적 증가율을 보였다.
작년 기준 글로벌 제약사가 임상시험을 통해 국내 환자에게 지원한 임상연구용 의약품 비용은 약 320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진행된 임상연구는 전년 대비 약 7.7% 증가한 총 1723건이다. 최근 5년간 임상연구 건수 또한 연평균 2.9%로 성장하며 증가하는 추세였다. 이 중 3상 임상의 수행 건수는 전년 대비 12.8% 상승한 644건으로 가장 많았다.
절차가 복잡하고 난이도가 높은 1~2상의 초기 임상시험 수행 건수도 5년간 연평균 각 14.5%, 7.9% 증가했다. 한국의 임상시험 역량이 질적인 측면을 포함해 글로벌 시장 속에서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증∙희귀질환에 대한 활발한 임상 연구와 투자 확대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 임상 연구 중 항암제 연구는 69.0%(975건), 희귀질환 연구는 13.5%(191건)를 차지했다. 최근 5년간의 임상 연구 연평균 성장률에서도 항암제 연구(10.0%) 및 희귀질환 연구(35.3%)가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기존 의약품으로 치료가 어려웠던 중증∙희귀질환 환자는 이 임상시험을 통해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접할 기회를 얻는다.
지난해 R&D 활동 종사 인력은 총 2299명으로 2018년 이후 증가세다. R&D 인력 중 특히 임상연구 인력의 비중이 52.9%로 두드러졌다.
서울대학교병원 김동완 임상시험센터장은 "이 보고서는 글로벌제약사들이 한국에서 활발하게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예시"라고 말했다.
이어 "임상시험은 과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치료법을 안전하게 도입하는 중요한 과정"이라며 "임상시험이 활발히 진행되면 의료진은 최신 의학 지식을 활용해 보다 나은 진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환자들은 새로운 치료 기회를 얻게 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ngyj@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본기사 보기
출처: 뉴시스(202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