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 Report
- Home
- 유망산업·입지
- 입지정보
- Location Report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에는 세계적 바이오 기업들이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연간 바이오 의약품 생산량 56만ℓ로 미국 샌프란시스코와 싱가포르 등 세계 주요 도시를 제치고 단일 도시기준 최대 생산 역량을 보유한 송도국제도시는 세계 최초 항체 바이오 시밀러 허가제품 보유 등 국내 최다 제품 허가 도시이기도 하다. 세계적 바이오시밀러와 개발·생산기업인 셀트리온,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기업인 삼성바이오로직스 및 바이오실밀러 생산기업인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자리 잡고 있으며, 이들 기업에 필요한 원료의약품과 기자재를 납품하는 외투기업, 연구기관·병원, 지원기관 등 바이오 기업·기관과 전문인력이 포진되어 안정적으로 원부자재를 공급함으로써 클러스터 내 안정적인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 확산, 고령화 등에 대응을 위해 바이오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는데, 바이오산업 세계시장 선점을 위해서는 송도 바이오 클러스터 확대 조성과 함께 적극적 기업 지원 및 네트워킹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IFEZ는 바이오·헬스케어 관련 외투기업을 유치하고 세계적 바이오클러스터로 도약을 도모하기 위해 인프라 확대 조성 및 바이오 혁신 생태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입지 개요
현재(2021) | 확대조성안(2030) | |
---|---|---|
위치 | 송도4,5,7 공구 | 송도4,5,7+11공구(신규매립) |
공급면적 | 920,000㎡ | 2,000,000㎡ |
유치기업 | 60여개 | 700여개 |
근무인력 | 6,000여명 | 20,000여명 |
투자/매출 | 7조원(누적)/4조원(’20) | 15조원/10조원 |
조성안 |
유치 현황
바이오클러스터 주요 입주기업 | |
---|---|
대학 | ·연세대 ·인천대 ·겐트대 ·뉴욕주립대 |
지원기관 | ·인천데크노파크 ·IFEZ바이오분석센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연구개발 | ·삼성바이오에피스 ·SCM생명과학 ·유타인하DDS연구소 ·보로노이 ·루다큐어 |
생산 |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디엠바이오 ·얀센백신 ·아이센스 ·넥스트바이오메디컬 |
공정 | ·GE헬스케어 ·머크 ·생고뱅 ·아지노모도 |
Key Highlights
- 바이오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연구-생산 밸류체인 연계 강화
- 글로벌 바이오 제약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바이오클러스터에 입주함으로 송도바이오클러스터의 글로벌 바이오의약 연구개발 역량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전망이다.
- K-바이오 육성을 위한 혁신 인프라층 확충
- 바이오공정 분야 인력 양성 센터 : mRNA백신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백신 생산에 필요한 최첨단 공정 솔루션 체험이 가능한 써모피셔 바이오의약 공정지원센터가 개소함으로 송도바이오클러스터의 경쟁력 강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 mRNA백신 : 바이러스의 유전정보가 담긴 메신저리보핵산을 활용한 백신 - 인천스타트업파크 : 4차산업혁명 기반 기술 스타트업의 ’실증, 투자, 글로벌진출‘ 지원 및 입주공간제공, 연구개발·사업화를 지원하고 있다.
- (생태계활성화 프로그램) 스타트업 성장을 위해 스파크 네트워킹 지원사업, 민간주도육성 프로그램 운영, 민간자문단 운영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통해 생태계 조성 기반 마련
- (실증프로그램) 실증사용화 지원사업, 빅데이터·AI 인프라 및 플랫폼 지원사업, 스케일업 챌린지 랩 등 단계적인 상용화 지원과 핵심분야 사업화 지원
- (투자프로그램) Spark IR Day, 입주기업 후속지원 등 가능성과 혁신성을 갖춘 스타트업에 지속적 투자지원
- (글로벌 진출지원프로그램) 부스터 스타트업 프로그램, 유전탐사 등 해외 진출지원을 위한 교육과 시장개척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
- 바이오공정 분야 인력 양성 센터 : mRNA백신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백신 생산에 필요한 최첨단 공정 솔루션 체험이 가능한 써모피셔 바이오의약 공정지원센터가 개소함으로 송도바이오클러스터의 경쟁력 강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오픈이노베이션에 기반한 상생네트워크 활성화
- 연세사이언스파크 조성 추진(~’26) :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 건립 및 국책사업, 민간투자유치, 연구인력 1,000명 이상 유치 등 산·학·연·병 협력을 통한 혁신생태계기반을 강화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