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콘텐츠
- Home
- 유망산업·입지
- 산업
- 문화 콘텐츠
-
수출 호조와 고부가가치로 성장하는 한국 콘텐츠 산업 내용닫기수출 호조와 고부가가치로 성장하는 한국 콘텐츠 산업한국 콘텐츠 산업은 매출 및 수출 호조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꾸준히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21년 기준 매출액 137.5조 원(전년 대비 7.2% 증가), 수출액 124.5억 달러(전년 대비 4.4% 증가), 사업체 수 약 10만 8천개(전년 대비 9.1% 증가)로,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각각 매출액 5.0%, 수출액 10.0%, 사업체 수 0.7%로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 무역수지는 112.5억 달러로, 게임 산업에서 높은 수출액을 기록하여 무역수지 흑자를 이끌었으며, 38.6%의 높은 부가가치율을 보이며 콘텐츠 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매출
- 전년 대비 7.2% 증가 137.5조 원
- 5년간(‘17~’21) 연평균 증가율
- 5.0% 상승
- 수출
- 전년 대비 4.4% 증가 124.5억 $
- 5년간(‘17~’21) 연평균 증가율
- 10% 상승
- 사업체수
- 전년 대비 9.1% 증가 10만 8천개
- 5년간(‘17~’21) 연평균 증가율
- 0.7% 상승
"한국 콘텐츠 산업 현황"한국 콘텐츠 산업 현황 정보 제공 구분 사업체수
(개)종사자수
(명)매출액
(백만 원)부가가치액
(백만 원)부가가치율
(%)수출액
(천 달러)수입액
(천 달러)무역수지
(천 달러)출판 34,011 175,898 24,697,753 9,740,089 39.4 428,379 317,939 110,440 만화 4,919 10,825 2,132,149 799,955 37.5 81,980 7,584 74,396 음악 34,001 59,583 9,371,728 3,141,082 33.5 775,274 14,031 761,243 영화 1,034 13,240 3,246,109 1,143,769 35.2 43,033 37,897 5,136 게임 10,991 81,856 20,991,342 8,663,127 41.3 8,672,865 312,331 8,360,534 애니메이션 647 6,131 755,520 301,552 39.9 156,835 8,524 148,311 방송 1,133 50,160 23,970,709 8,621,601 36 717,997 60,761 657,237 광고 6,627 74,485 18,921,883 6,200,701 32.8 258,167 341,654 83,487 캐릭터 2,901 16,597 5,003,908 2,080,238 41.6 412,990 81,226 331,764 지식정보 10,108 87,704 19,946,243 8,423,451 42.2 660,850 9,314 651,536 콘텐츠
솔루션2,256 38,256 8,470,614 3,907,217 46.1 244,527 13,443 231,084 전체 108,628 614,734 137,507,958 53,022,781 38.6 12,452,897 1,204,704 11,248,193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2023). 2021년 기준 콘텐츠 산업 통계 -
K-콘텐츠, 한국 콘텐츠 산업을 이끄는 강력한 브랜드 파워 내용닫기K-콘텐츠, 한국 콘텐츠 산업을 이끄는 강력한 브랜드 파워세계 7위,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나가는 한국 콘텐츠 산업한국 콘텐츠 시장 규모는 약 791억 달러(2023년 전망치)로 세계 7위이며, 이는 지난 20여 년 동안 글로벌 시장에서 ‘한류’의 명성을 이어오는 한편, ‘K-콘텐츠’ 자체가 강력한 브랜드 파워로 자리매김하면서 시장규모가 대폭 확대된 것으로 파악된다. 향후 시장 규모 또한 ‘21년 이후 6년간 연평균 4.26% 성장하여 ‘26년 864억 달러 규모에 이르며 글로벌 콘텐츠 산업 내 영향력을 확대해나갈 전망이다."국가별 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단위: 억 달러, %)
국가별 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정보를 제공 순위 국가 2021p 2022 2023 2024 2025 2026 '21-'26 연평균 성장률 ( % ) 1 미국 9,798 10,573 11,120 11,588 11,965 12,307 4.67 2 중국 4,461 4,837 5,209 5,566 5,920 6,273 7.05 3 일본 2,082 2,175 2,238 2,297 2,351 2,403 2.91 4 영국 1,203 1,309 1,392 1,457 1,514 1,566 5.41 5 독일 1,130 1,209 1,272 1,316 1,348 1,377 4.04 6 프랑스 773 834 871 903 925 944 4.08 7 한국 702 753 791 819 843 864 4.26 8 캐나다 662 721 763 798 828 852 5.19 9 이탈리아 438 476 499 517 531 544 4.46 10 호주 422 457 482 502 516 527 4.55 ※ 자료 : KOCCA(2023). 2022 해외콘텐츠 시장 분석경기 침체에도 꾸준히 성장하는 고성장·고부가가치 산업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한국 콘텐츠 산업의 매출 및 수출 규모는 빠르게 증가하며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 콘텐츠 산업은 최근 5년간(’18년~‘22년) 매출과 수출 모두 꾸준히 증가하는 한편, 수출액이 매출액보다 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향후 수출 및 해외 매출의 비중이 점차 확대되는 것은 물론, 글로벌 시장에 미치는 콘텐츠의 영향력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한국 콘텐츠산업 매출액 및 수출액 추이 (‘18년-’22년)"한국 콘텐츠산업 매출액 규모 (‘18년-’22년) (단위 : 조원)- 2018 : 119.9
- 2019 : 126.7
- 2020 : 128.3
- 2021 : 136.7
- 2022 : 146.9
- 2018 : 96.2
- 2019 : 102.5
- 2020 : 119.2
- 2021 : 128.2
- 2022 : 130.1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2023)다음, 한국 콘텐츠 산업은 투입 대비 효율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잘 만든 핵심 콘텐츠와 콘텐츠 IP는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한 매출, 수출 등 가치 창출을 실현케 한다.이러한 투자 강점의 대표적 사례로 자체 핵심 IP와 다양한 사업 역량을 보유한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해외 국부펀드 투자유치를 들 수 있다. 아울러, 한국 콘텐츠 산업은 연관 산업 소비·수출을 견인하여 경제적·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난다. 국내 콘텐츠 산업의 전후방 유관 산업에 대한 생산 유발 효과는 약 36조 원(‘19년 기준)이며, 콘텐츠 수출액 1억이 증가할 때, 관련 소비재 수출액 1.8억 달러 증가, 생산유발효과 5.1억 달러 증가, 취업 유발 인원 2,982명이 발생(’22년 기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글로벌 시장에서 인정하는 ’K-콘텐츠’의 우수성과 공감성K-콘텐츠는 오징어게임, 미나리, BTS 등으로 글로벌 흥행과 세계 대회에서의 수상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우수성과 공감성을 인정받았다.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빈부 격차, 이민자의 역사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와 소재를 다루며 초국가적인 공감을 얻을 수 있는 한편, 인물들의 세밀한 감정선, 짜임새 있는 스토리를 갖추고 있다는 점이 글로벌 흥행의 요인으로 분석된다."글로벌 시장에서 활약하는 K-콘텐츠"- 오징어게임 - 넷플릭스
- 미나리 - 골든 글로브 등 국제 영화제 수상작
- BTS - HYBE 기획사
글로벌 콘텐츠 제작 시스템 및 우수한 인력전 세계적 K-콘텐츠의 인기에 힘입어 한국 콘텐츠 산업은 글로벌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우수한 인력들을 확보해나가고 있다. 국내외 OTT 플랫폼을 필두로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수요는 높아져가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시장을 염두에 둔 국내 콘텐츠 제작사 및 제작 스튜디오 설립으로 이어지고 있다. CJ ENM, JTBC 등의 국내 대기업들이 콘텐츠 제작사를 설립, 인수하는 것은 물론, 실감 콘텐츠 제작을 위한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 설립에도 힘을 쏟고 있다.아울러, 20여년 동안 한류 콘텐츠 제작을 이끌어온 숙련된 제작 인력에서부터 최근 전 세계적 흥행작을 배출한 인력까지, 높은 제작 역량의 인력 풀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이러한 탄탄한 콘텐츠 제작 파이프라인의 구축 및 강화, 관련 인력들의 동반 성장은 한국 시장 맞춤형 콘텐츠가 곧 글로벌 시장형 콘텐츠라는 굳은 신뢰를 만들어가고 있다.- CJ ENM
- JTBC
혁신 기술과 창의적 콘텐츠의 활발한 결합 및 지원한국 콘텐츠 산업은 세계적 수준의 정보통신기술과 연결망을 기반으로, 첨단 미디어 기술을 빠르게 수용하고 융합하며 융복합 산업의 지형을 확장해나가고 있다. 첨단 기술이 접목된 융복합 콘텐츠는 투자 측면에서 콘텐츠 제작 비용과 시간의 절감을 실현하고, 더 나은 퀄리티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하여 동 시장의 성장 전망은 매우 긍정적이다. 정부 또한 이러한 기술 기업과 콘텐츠 기업들의 교류 및 협력, 관련 인력 양성 등에 유관 기관을 통한 각종 연관 사업, 제도 등을 마련하여 지원하고 있다. -
정부의 전방위적인 콘텐츠 산업 정책·인센티브 지원 내용열기정부의 전방위적인 콘텐츠 산업 정책·인센티브 지원한국 정부는 콘텐츠 산업 관련,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서비스 경제 전환 촉진, K-콘텐츠의 매력을 전 세계로 확산 등 4개 국정과제를 제시하고, 관계부처 추진과제로 K-콘텐츠를 수출 지형을 바꾸는 승부수로 삼는 추진과제 하에 기업·벤처 지원 확대, 정책금융 지원 등 다양한 세부 지원과제를 제시하고 있다."23년 콘텐츠산업 정부 정책 지원 현황"
국정과제
-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서비스 경제 전환 촉진
- K-콘텐츠의 매력을 전 세계로 확산
- 글로벌 미디어 강국 실현
- 국민과 동행하는 디지털·미디어 세상
관계부처추진과제
- K-콘텐츠, 수출 지형을 바꾸는 게임 체인저
- 콘텐츠 스타트업·벤처 전 주기 지원
- 역대 최대 규모 7,900억 원 정책금융(K-콘텐츠펀드, 콘텐츠IP 펀드 조성 등) 지원
- 1만 명 콘텐츠 인재 양성
- K-콘텐츠 및 연관산업 수출 확대 (기업 해외 진출 지원 거점 확대 등)
목표 및 예산
K-콘텐츠 23년 콘텐츠 분야 총 예산 : 약9,743억원
- 매출액
- (’23) 153조원 (’27) 200조원
- 수출액
- (’23) 150억 달러 (’27) 220억 달러
- 한류팬 수
- (’20) 1.2억명 (’27) 3.6억명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2023), 언론보도 종합 등아울러, 동 산업에 대한 인센티브로 다양한 세제지원 제도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영상 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의 경우, 제조업 중심으로 구성된 조세특례제한법 중 유일하게 콘텐츠 산업의 특정 목적을 위해 특별히 개설된 조항이며, 동 공제 조항은 TV 방영 방송프로그램, 영화관에 상영된 영화의 제작 비용에 대한 세제지원으로, 세액공제 대상에 OTT 오리지널 콘텐츠가 추가되었다."영상 콘텐츠 제작비용 세액공제 개요"영상 콘텐츠 제작비용 세액공제 개요 제공 구분 내용 대상 7일 이상 상영된 영화(예술영화 1일 이상), TV로 방송된 드라마,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오락프로그램, OTT 콘텐츠 제작비(추가) 공제율 및 공제방식 영상 콘텐츠 제작 비용의 일정 비율(중소기업 10%, 중견기업 7%, 대기업 3%)을 처음 방송·상영된 과세 연도의 소득세 또는 법인세에서 공제 공제 대상 비용 아래에 해당하는 국내외에서 발생한 영상 콘텐츠 제작 비용 - 1.제작 준비 비용
- 2. 촬영제작비용
- 3.후반 제작 비용
* 단, 공공 기관 및 지방 공기업 출연금, 광고 및 홍보비용, 접대비, 특정 인건비, 출연료가 가장 많은 배우 5인의 출연료 합계액 중 총 제작 비용 합계액의 100분의 30 초과분은 비용에서 제외※ 자료 : KOCCA(2022), 언론보도 종합(2023) 등 -
지역 콘텐츠 육성 및 산업 특구 구축을 통한 균형 발전 실현 내용닫기지역 콘텐츠 육성 및 산업 특구 구축을 통한 균형 발전 실현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콘텐츠 기업 거점·보육 기관 및 산업 특구 지정한국 정부는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전국 16개 콘텐츠 거점기관과 총 15개 지역 소재 예비 및 초기 창업기업 지원기관을 두고 지역 콘텐츠 창작·창업 생태계 조성 및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아울러, 지역 고유의 콘텐츠 세부 업종별 특구를 지정하고 특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 성남시의 ‘판교 게임·콘텐츠 특구’가 대표적인 예이며, ‘25년까지 총사업비 1,719억 원을 투입하여 게임 콘텐츠 산업 인프라 조성, 기업 지원 프로그램 강화 등 특화 사업을 추진 중이다."지역 예비·초기창업기억 보육기관 현황"
- 인천콘텐츠코리아랩
- 경기콘텐츠코리아랩
- 충남콘텐츠코리아랩
- 충북콘텐츠코리아랩
- 대전콘텐츠코리아랩
- 전북콘텐츠코리아랩
- 광주콘텐츠코리아랩
- 전남콘텐츠코리아랩
- 강원콘텐츠코리아랩
- 대구콘텐츠코리아랩
- 경북콘텐츠코리아랩
- 울산콘텐츠코리아랩
- 부산콘텐츠코리아랩
- 경남콘텐츠코리아랩
- 제주콘텐츠코리아랩
※ 자료 : KOCCA"판교 게임·콘텐츠 특구"- 아이코닉스(뽀로로, 타요)
- 오콘(애니메이션)
- 웹젠 (매출 13위)
- 아프리카tv
- 넥슨gt, 플레이위드
- 네오위즈 (매출 12위)
- 경기 E스포츠 전용 경기장
- 넥슨 (매출 1위)
- nhn (매출 5위)
- 경기창조경제혁신센 (경기글로벌게임센터,콘텐츠코리아랩문화창조허브)
- 판교 콘텐츠 거리
- 스마일게이트 (매출 4위)
- 위메이드 (매출 14위)
- 엔씨소프트 (매출 3위)
- nxn
- 크레프톤 (매출 4위)
※ 자료 : 성남시’25년까지 IP 융복합 클러스터 구축 목표정부는 ’25년까지 콘텐츠 IP의 융복합을 위한 ’IP 융복합 클러스터‘를 구축해나갈 계획이다.
잠재 성장력이 높은 한국의 콘텐츠를 육성하기 위해, 동 사업은 웹툰의 애니메이션화 등 콘텐츠 IP 융복합을 위해 핵심 IP를 보유한 슈퍼 IP 기업을 육성하고 펀드, 제작 인프라, 기술 개발 등을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23년 총사업비 1,699억 원 규모로 추진 중이다. -
영상 콘텐츠와 게임 투자의 메카, 대한민국 내용열기영상 콘텐츠와 게임 투자의 메카, 대한민국넷플릭스, 시공간의 제약을 넘은 국내 최첨단 특수효과 스튜디오 투자글로벌 OTT 기업 넷플릭스는 본사가 있는 미국, 스페인, 영국 등 세계 각지에 넷플릭스 자체 스튜디오를 확보하며 콘텐츠 제작·생산의 생태계를 구축해나가고 있다. 주목할 점은 넷플릭스가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최초로 한국 시장을 콘텐츠 제작 거점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넷플릭스 자회사로 특수효과 영상을 제작하는 ‘아이라인 스튜디오’가 ‘22년 서울에 국내 법인을 신설하고, 향후 5년간(`23년~`27년) 1억 달러를 투자할 것을 발표한 것이 그 예이다. 동 사는 K-콘텐츠의 글로벌시장 내 유망성과 국내 특수효과 영상 제작 인력의 우수성을 바탕으로 투자하였으며, 이번 투자로 첨단 특수효과 기술 도입을 통한 K-콘텐츠의 고도화, 총 200명의 직접 고용 창출 등으로 국내 영화·드라마 제작 산업의 발전에 기여 할 전망이다.텐센트의 한국 게임개발사 지분 투자 확대국내 게임사들에 대한 해외 투자가들의 지분 투자가 꾸준히 이루어지는 가운데, 중국 IT 대기업인 텐센트 또한 국내 온라인 및 모바일 게임사들에 지속적으로 신규 및 증액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텐센트는 `22년 7월 중국 게임사 최초 한국게임산업협회 이사사로 가입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 게임 시장 내 영향력을 확대하는 한편, 국내 게임사들에 대한 투자 또한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텐센트가 중국 게임 시장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갖고 있음과 더불어, ’22년 12월 중국이 1년 6개월 만에 국내 게임에 중국 시장에서의 게임 서비스 허가권인 ‘판호’를 대거 발급해줌으로써, 텐센트의 한국 투자를 통해 국내 게임사들이 우수 게임을 중국 시장에 출시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을 거라는 시각이 있다.
-
단지명송도지식정보산업단지(인천경제자유구역)
-
최초지정일2000.09.18
-
지정면적(km2)2,401,745
-
관리기관인천경제자유구역청
-
인근철도역부평역
-
역과 거리(km)18
-
인근공항인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31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인천광역시 연수구
-
인구수(명)2,943,491
-
단지명춘천도시첨단문화산업단지
-
최초지정일2008.01.25
-
지정면적(km2)186,922
-
관리기관강원도 춘천시
-
인근철도역지평역
-
역과 거리(km)60
-
인근공항원주공항
-
공항과의 거리(km)78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강원도 춘천시
-
인구수(명)281,854
-
단지명춘천전력IT문화복합일반산업단지
-
최초지정일2009.06.05
-
지정면적(km2)353,659
-
관리기관강원도 춘천시
-
인근철도역양평역
-
역과 거리(km)49
-
인근공항원주공항
-
공항과의 거리(km)65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1,706(㎥/일)[공업용수/생활용수 구분 없음]
-
소속 기초 지자체강원도 춘천시
-
인구수(명)281,854
-
단지명청주도시첨단문화산업단지
-
최초지정일2002.03.25
-
지정면적(km2)47,900
-
관리기관충청북도 청주시
-
인근철도역오근장역
-
역과 거리(km)6
-
인근공항청주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9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충청북도 청주시
-
인구수(명)843,782
-
단지명파주출판문화정보국가산업단지
-
최초지정일1997.03.26
-
지정면적(km2)1,561,939
-
관리기관한국산업단지공단
-
인근철도역파주역
-
역과 거리(km)17
-
인근공항김포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29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2176(㎥/일)
-
소속 기초 지자체경기도 파주시
-
인구수(명)459,158
-
단지명송암일반산업단지
-
최초지정일1979.07.04
-
지정면적(km2)415,946
-
관리기관광주시(송암산단협의회)
-
인근철도역광주역
-
역과 거리(km)14
-
인근공항광주공항
-
공항과의 거리(km)9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6000000(㎥/일)
-
소속 기초 지자체광주광역시 남구
-
인구수(명)1,454,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