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 Home
- 유망산업·입지
- 산업
- 물류
-
한국 물류 산업의 동향과 전망 내용닫기한국 물류 산업의 동향과 전망물류거점의 활용 : 부산과 인천 중심의 물동량 회복으로 물류기업 성장세 지속1)2023년 3월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이 월 기준 역대 최대인 205만TEU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9.3% 증가한 것이다. (종전 최고 기록은 202만TEU).
엔데믹, 러우 전쟁을 비롯한 글로벌 악재의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특히 부산항의 강점인 환적화물(T/S Cargo) 물동량(약 109만TEU)에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3월 환적 물동량을 살펴보면 부산을 환적항으로 활용하고 있는 머스크사의 환적 물동량이 약 53%(약 8만TEU)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부산항 물동량"2023년 2월 인천공항 항공화물 수송은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으나,
글로벌 경기둔화로 인한 12개월 연속 항공화물 수요 감소 및 팬데믹 특수물량 소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3분기 즈음 재차 수요 증가세가 나타날 것이라는 예측이다. 2022년 12월 세계 최대 국제화물 항공사인
미국 아틀라스 항공의 직영 정비시설을 유치하면서,
취항 중인 화물 및 여객 항공사를 대상으로 항공기 정비사업을 확대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2022년은 국내 주요 2자 물류기업(2PL)이 우호적인 해상 운임과 물동량 증가세에 힘입어 외형과 이익을 모두 확장하는 성과를 냈다.
지난해 2자 물류 5개사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전년보다 0.7%p(포인트) 오른 3.3%로 집계됐다.
일부 선두 기업들은 물류센터에 AI 기술을 도입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글로벌 종합물류기업으로의 도약을 준비 중이다.※ 1)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수출입 컨테이너, 생활 물류, 일반화물 등 대부분의 물동량 증가 예상부산항만과 같이 인천항만 컨테이너 물동량 역시 전년 동월 대비 20% 증가한 29만 8,933TEU를 기록해
역대 3월 물동량 중 최대치로 기록했다. 물동량 증가 요인으로는
▲컨테이너선의 기항 증가 효과에 따른 중국, 태국, 베트남 수출입 호조 ▲자동차 품목 적재용 공 컨테이너 회수 증가
▲중국으로의 공 컨테이너 리포지션(재배치) 증대가 있다. 1)‘23년 물류산업은 러우 전쟁 및 인플레, 고금리 등으로 인한 세계적인 경기둔화에 따른 영향을 피할수는 없겠으나
디지털 물류 전환과 플랫폼 비즈니스의 확대로 전체 물동량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우리나라 수출입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대비 4.2% 증가, 생활 물류 물동량은 10.9%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수출입 물동량 예상 증가치"※ 1) 월간 물류매거진
2) 2023 교통.물류 항공산업 전망 세미나, 2022.11.18, 한국교통연구원물류센터 개발의 양대 분화 (초대형 지역거점 Vs. 소규모 도심형 거점)수송 규모 확대와 소량·다품종 처리 시설 도입 등에 따라, M&A를 통한 화주 기업 대형화, 첨단화, 거점 집중화가 진행 중이다.
최근 구축되는 물류센터의 경우 AI를 활용한 로봇시스템(예: 中 Geek+)을 적극 활용하여 안전도, 효율성, 정확성을 높이는 추세이다.반면 COVID-19 이후 폭발적 성장을 거듭하는 퀵커머스 시장로 인해 도시 지역 소규모 물류창고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기존 도심 소재 대형매장을 줄인 형태의 다양한 도심형 물류센터* 공간이 확대되는 추세이다.(다크스토어, MFC, PPC 등)1)※ 1) 물류거점, 왜 도심으로 들어올까 2022, 물류신문콜드체인 연 평균 15% 성장세 지속여러 연구기관의 전망을 종합해 볼 때 글로벌 콜드체인 시장은 2020년 현재 약 2,240억 달러 수준이었던 것이
2026년도에는 매년 약 15%씩 성장해 두배 수준인 4,38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한국의 경우, 2018년 당시 120조원 규모의 물류산업 대비 49조원으로 추산되었던 콜드체인 분야 규모가
2028년 전후로 195조원 규모로 대등해지고 이후엔 콜드체인 분야가 역전할 것으로 예측된다."글로벌 콜드체인 주요 통계조사기관 전망"글로벌 콜드체인 주요 통계조사기관 전망 표로 통계조사기관, 기준시점규모 (USD억/기준년도), 미래시점규모 (USD억/기준년도), 연간성장률 전망 (%), 주요마켓범위 정보 제공 통계조사기관 기준시점규모 (USD억/기준년도) 미래시점규모 (USD억/기준년도) 연간성장률 전망 (%) 주요마켓범위 Grand View Research 1,600(2018) 5,850(2025) 15 - 저장/창고 - 운송
- 모니터링 - 장비
- 포장(박스, crate, 소재, 냉매제 등)
- 식품, 의약품 등 콜드체인 주요 수요산업과 지역 전망치
Statista 1,560(2018) 1,738(2023) 15 Allied Market Research 1,560(2018) 5,851(2026) 17.9 Markets & Markets 2,030(2018) 2,930(2023) 7.6 Mordor Intelligence 1,826(2017) 2,777(2023) 7.24 Verified Market Research 2,036(2017) 6,526(2023) 7.0 ※ 자료원 : 투데이에너지 (2021) -
한국 투자의 여러 강점 내용닫기한국 투자의 여러 강점인천공항, 부산항 mega hub로 촘촘한 한중일 피더 네트워크 구축한국은 세계 2위 환적항1)인 부산항과 세계 2위 항공화물 거점2) 인천공항을 보유하고 있으며, 수출입에 필요한 소요 시간이 빠르고 비용이 낮아3) 기업의 무역 활동에 용이하다. 이들은 초거대 시장인 일본과 중국의 중심에 위치, 물류거점으로서의 입지가 탁월하다.
부산항의 경우는 세계 최고 수준의 터미널 운영사이며, 숙련된 산업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PSA, DP World, 허친슨 등 글로벌 터미널 운영사(GTOs)들이 입주운영중이다.1) Drewry " Container Forecaster & Annual Review 2020/21“, 부산항만공사.
”2020 부산항 컨테이너화물 처리 및 수송 통계“ 세계 환적 항만 순위 2018, 2019년 2위 유지
2) 국제공항협의회(ACI; Airport Council International)(2020), 인천국제공항공사,
“인천공항 국제선 화물 물동량, 개항 이후 1/4분기 중 역대 최고 실적 기록 !!!”보도자료, 2020년 세계순위 3위
3) The World Bank Group, “Doing Business 2020” (‘21.11.2검색)
(https://www.doingbusiness.org/en/reports/global-reports/doing-business-2020)"부산항 물동량 증감추이 및 ‘23년도 예측(2021-2023)"(단위: 천TEU, %)부산항 물동량 증감추이 및 ‘23년도 예측(2021-2023) 표로 구분, 년도별 정보 제공 구분 2021 2022 2023 (전망) 물동량 증감율(YoY) 물동량 증감율(YoY) 물동량 증감량 증감율(YoY) 전체 22,706 4.0 22,110 △ 2.6 22,312 202 0.9 수출입 10,433 6.4 10,310 △ 1.2 10,382 72 0.7 수출 5,225 5.5 5,200 △ 0.7 5,313 113 2.2 수입 5,208 7.3 5,110 △ 1.7 5,069 △ 41 △ 0.8 환적(T/S) 12,273 2.1 11,800 △ 3.9 11,930 130 1.1 ※ 자료원 : 부산항만공사 (2022)나아가 유럽 및 북미 시장과 연계하여 글로벌 물류허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유럽항로(Rotterdam 19,866Km/429시간), 북미 항로(LA9,892Km/214시간) )우리나라의 물류 관문인 부산항의 2023년도 물동량은 전년 대비 약 0.9% 증가한 약2,231만TEU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수출입 물동량은 0.7% 증가한 1,038만TEU, 부산항 최대 강점인 환적화물은 1.1% 늘어난 1,193만TEU로 예측된다.부산항은 연중무휴 가동으로 안정적인 영업을 할 수 있는 항만이며, 태풍이나 안개 등의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하다.
중국의 주요 항만 연간 항만 폐쇄 일수가 2021년 기준 상하이 22일, 닝보 32일, 칭다오 28일 내외인 점을 고려하면,
부산항의 연중무휴 가동은 큰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부산항은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 등의 접안이 용이 한 깊은 수심(16-17미터)이기에 세계 최대 규모의 컨테이너선이 접안 가능하다.신속한 반출입 절차로 효율적인 물류 프로세스 가능"국가별 수출입 시간 및 비용 비교"소요시간 (시간당)국가별 수출입 소요시간 표로 국가, 수출, 수입 정보 제공 국가 수출 수입 한국 13 6 중국 18 37 싱가포르 10 33 일본 27 48 소요비용 (달러당)국가별 수출입 소요비용 표로 국가, 수출, 수입 정보 제공 국가 수출 수입 한국 185 315 중국 249 230 싱가포르 335 220 일본 241 275 ※ 자료원 : 관세청, 한국무역협회, 일본 재무성, 중국 관세청 (2021)물류 인프라의 꾸준한 성장세한국의 물류산업은 2000년대 이전까지 고도 경제성장과 수출 중심 경제구조로 인해 양적으로 급성장하였으며,
2000년대 들어 중국 시장의 부상과 정부의 물류 인프라 투자(인천공항 및 부산신항, 내륙 물류기지 등)에 힘입어 질적으로도 성장하였다.
협소한 국토 공간과 북한으로 인한 아시아대륙과의 육로 단절로 국내 물류의 경우 화물자동차운송시장이 전담하고 있고,
국제물류는 해운과 항공이 전담하고 있다.
한국은 3면이 바다이고 중국과 일본 사이에 위치한 지정학적 입지와 수출주도형 경제에 힘입어
수도권(인천항, 인천공항)과 부산권(부산항) 중심의 국제물류산업이 발달하였으며,
수도권-부산권 물류벨트에는 교통망 외에 공·항만-내륙 물류기지 등 물류 인프라가 집중적으로 입지하고 있다."운수업 및 물류산업 주요 지표"운수업 및 물류산업 주요 지표로 구분, 운수업, 물류산업 정보 제공 구분 운수업 물류산업 2020년 2021년 2020년 2021년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기업체수(개) 552,075 575,407 23,332 4.2 375,116 398,796 23,680 6.3 종사자수(명) 1,256,162 1,312,222 56,060 4.5 714,336 783,591 69,255 9.7 매출액(십억원) 151,537 193,288 41,751 27.6 112,195 154,803 42,608 38.0 영업비용(십억원) 142,663 168,214 25,551 17.9 100,470 127,495 27,026 26.9 ※ 자료원 : 통계청, 보도자료 2021년 운수업조사 결과(잠정)(물류 산업통계 포함), 2022.12.9."물류산업 업종별 현황"업종별 매출액 및 매출액 구성비- 업종별 매출액 (단위 : 조원)
- 육상운송업 3.6% 증가 - 2018년 65.4%, 2019년 67.8%
- 수상운송업 3.1% 증가 - 2018년 28.3%, 2019년 29.2%
- 항공운송업 -0.7% 하락 - 2018년 25.0%, 2019년 24.8%
- 창고·운송관련 서비스업 7.1% 증가 - 2018년 28.2%, 2019년 30.2%
- 매출액 구성비 - 152.0조원
- 육상운송업 44.6 %
- 창고·운송관련 서비스업 19.9 %
- 수상운송업 19.2 %
- 항공운송업 16.3 %
※ 자료원 : 통계청, 보도자료 2021년 운수업조사 결과(잠정)(물류산업통계 포함), 2022.12.9.다양한 형태의 한국 內 물류 비즈니스 추진2020년 기준 한국의 물류·유통 산업부문에서의 외국인 직접투자는 18억 3,117만 달러이며,
전년 대비 운수 창고(물류) 분야의 외국인 직접투자는 38.7% 증가하였다.
이 중 92%가량이 그린 필드형 투자였으며, 홍콩, 미국, 중국, 싱가포르, 독일, 아랍에미레이트 등 다양한 국가에서 한국으로 진출하였다.2020년 기준 한국의 물류 산업부문(운수·창고)에서의 외국인직접투자규모는 총 44건에 632백 만달러 수준이며,
최근 7년간 총유치금액은 3,154 백만 달러에 달하고 있다.
외국인직접투자는 국내외 경기 외에도 주변 경쟁국의 투자유치환경(정책, 시설, 시장규 모 등)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투자 규모는 다소간의 등락 현상을 보이고 있다.과거 2011~2013년의 경우 66~143백만 달러 수준으로 낮았지만 최근 7년간을 보면 3~6억불 수준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같은 수준에서 안정화 추세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난다.
투자유형에 따른 투자 규모(신고금액 기준)는 ‘M&A’형이 17%인 데 비해 ‘그린필드’형이 83%로 절대적 비중을 차지한다. - 업종별 매출액 (단위 : 조원)
-
정부 정책 내용열기정부 정책국가물류기본계획 개요지난 2000년 제1차 계획(5개년) 수립 이래, 정부는 4차례에 걸쳐 물류정책을 입안, 집행한 바 있다.제5차 계획(2021년 7월 수립)은 10개년 계획으로써 보다 포괄적이고 세부적인 전략으로 구성되어 있다.
(6개 추진전략, 10大 핵심 추진과제, 19개 세부과제)"국가물류기본계획 주요 내용"- 비전 - 물류산업의 스마트·디지털 혁신 성장과 상생 생태계 조성 통한 글로벌 물류 선도국가 도약
- 목표 및 추진전략
- 물류산업 매출액 91조원 -> 140조원
- 물류 경쟁력지수 25위 -> 10위권
- IT 활용지수 39.6 -> 66.1
- 물류 일자리 64.5만 명 -> 97만 명
- 01.스마트 물류시스템 및 디지털 전환
- 02.공유·연계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 03.사람중심 일자리 및 고품격 물류 서비스
- 04.지속가능한 물류산업 환경 조성
- 05.산업 경쟁력 강화 및 시장 체질 개선
- 06.글로벌 시장 전략적 진출 확대
- 10大 핵심 추진과제
- 과제 1. 자율주행 시대 대응 위한 물류체계 구축
- 과제 2. 효율적 스마트 도시물류시스템 선제적 구축
- 과제 3. 콜드체인 물류 활성화 및 안전성 제고
- 과제 4. 유통·제조·플랫폼 산업 선도하는 물류체계 구축
- 과제 5. 물류 표준화·디지털화 확산 및 국가 물류지도 구축
- 과제 6. 국가 물류의 균형성·다양성·회복력 강화
- 과제 7. 시민 참여형(크라우드소싱) 물류 확산
- 과제 8. 지속 가능한 철도 물류 산업체계 구축
- 과제 9. 첨단기술 기반 스마트 공·항만 구축
- 과제 10. 친환경 해운물류 시스템 구축
-
산업 클러스터 내용닫기산업 클러스터국가물류체계에서 거점 역할을 하는 내륙물류기지와 복합물류터미널은
5대 권역(수도권, 부산권, 중부권, 호남권, 영남권)에 7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주기업과 전문물류기업의 물류단지는 전국적으로 총 30개소(총 면적 : 1,200만 ㎡)가 지정되어 운영 중이다.물류기업은 대부분 관세유보, 조세감면, 기반시설 제공 등의 혜택이 있는 경제자유구역과 자유무역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해 있다.
2003년 인천을 시작으로 부산ㆍ진해, 광양만권, 경기, 인천, 대구ㆍ경북, 충북, 동해안권, 광주, 울산 등 총 9개가 조성·운영되고 있다.
국제물류항만이 있는 인천, 부산 진해, 광양만권 등에서는 물류업과 클러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
한국 투자진출 성공사례 내용열기한국 투자진출 성공사례쿠팡 / 미국지난 2010년 한국법인 설립 이래 12년간 전국 30여개 물류허브 구축에 6.2조원 투입, 국가경제에 이바지 하는 바가 큰 투자가이다.
이커머스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한국 시장의 특성을 활용, 공격적인 투자를 감행, 업계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 하였다.지난 수년간 국내시장에서 6만명 이상을 직고용, 대규모 고용 창출로 지역 상권 활성화 기여하고 있으며,
최첨단 대규모 물류센터(예: 대구FC) 동시다발 구축으로 AI 알고리즘, 로봇 자동화가 결합된 물류산업 고도화를 견인하고 있기도 하다.EMP Belstar / 미국부산, 인천, 평택 항만을 비롯한 전국 단위 주요 물류거점 콜드체인 클러스터 구축한 글로벌 투자가로써,
첫번째 한국 투자 프로젝트인 평택 오성산단內 초저온 물류단지 시설은 지난 `19.1월 완공 및 운영 중이다.
또한, 한국초저온 부산, 인천 등의 프로젝트 진행 중이며 추후 한국을 아시아 콜드체인 허브로 구축하겠다는 목표이다.현재 한국에 집행했거나 계획 중인 총 투자 프로젝트 규모는 약20-30억 달러이며,
주요 거점 물류 클러스터 투자 프로젝트를 필두로 전국단위 콜드 스토리지 5-6개를 구축, 추후 시장 점유율 25%를 목표로 하고 있다.
-
단지명부산신항배후국제산업물류도시(1단계)일반산업단지(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
최초지정일2010.03.03
-
지정면적(km2)5,707,591
-
관리기관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
인근철도역부산역
-
역과 거리(km)26
-
인근공항김해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19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20479(㎥/일)
-
소속 기초 지자체부산광역시 강서구
-
인구수(명)3,401,078
-
단지명한국수출(부평지구)
-
최초지정일1965.06.16
-
지정면적(km2)609,361
-
관리기관한국산업단지공단
-
인근철도역부평역
-
역과 거리(km)5
-
인근공항김포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14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384000(㎥/일)
-
소속 기초 지자체인천광역시 부평구
-
인구수(명)2,943,491
-
단지명한국수출(주안지구)
-
최초지정일1969.08.05
-
지정면적(km2)1,176,829
-
관리기관한국산업단지공단
-
인근철도역부평역
-
역과 거리(km)7
-
인근공항김포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25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250000(㎥/일)
-
소속 기초 지자체인천광역시 서구, 남구, 부평구
-
인구수(명)2,943,491
-
단지명오선산업단지
-
최초지정일2014.04.11
-
지정면적(km2)459,481
-
관리기관충청북도 음성군
-
인근철도역음성역
-
역과 거리(km)19
-
인근공항청주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43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871(㎥/일)
-
소속 기초 지자체충청북도 음성군
-
인구수(명)94,179
-
단지명의왕테크노파크
-
최초지정일2016.12.28
-
지정면적(km2)158,708
-
관리기관경기도 의왕시
-
인근철도역수원역
-
역과 거리(km)10
-
인근공항김포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39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754(㎥/일)
-
소속 기초 지자체경기도 의왕시
-
인구수(명)162,751
-
단지명북평제2일반산업단지
-
최초지정일2013.10.14
-
지정면적(km2)598,964
-
관리기관강원도 동해시
-
인근철도역추암역
-
역과 거리(km)1
-
인근공항양양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93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2,153(㎥/일)
-
소속 기초 지자체2,153
-
인구수(명)90,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