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동향

산업 전반
전산업 생산 | 광공업 | 서비스업 | 소매판매 | 설비투자 | 건설기성 | |
---|---|---|---|---|---|---|
‘25.4월(%) | △0.8 | △0.9 | △0.1 | △0.9 | △0.4 | △0.7 |
4월 산업활동은 생산이 2개월 연속 큰 폭 증가했던 기저효과로 조정을 받는 가운데, 소비∙건설 등 내수 어려움이 지속되는 모습입니다. 통상리스크 대응과 내수 활성화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 출처 : 기획재정부 (moef.go.kr)
산업별
자동차
→ 3월 수출은 하이브리드차를 중심으로 한 국산차 수요증가에도 불구하고 해외 완성차 생산량 감소로 인한 부품 수요 감소로 보합세를 시현했습니다. 2월 내수는 빠른 보조금 확정에 따른 전기차 판매 확대로 전년동월비 12.9% 증가했습니다. 2월 생산은 내수와 수출 모두 증가로 전환하며 전년동월비 14.6% 증가했습니다.
조선
→ 2월 생산은 전월비 3.7% 감소하였지만, 전년동월비로 44.6%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3월 수출은 LNG운반선 및 대형컨테이너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인도가 확대되며 전년동월비 51.6% 증가한 약 32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2월 수입은 선박용 부품 및 선박기자재 유입이 확대되며 전년동월비 2.2% 증가했습니다. 올해 1~2월 세계 선박 발주는 탱커, 벌커, 가스운반선 등 대부분의 선종에서 부진이 이어지며 전년동월비 65.4% 감소한 반면, 컨테이너선 부문만 44.2% 증가했습니다.
일반기계
→ 2월 생산은 내수 및 설비투자 확대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4.4% 증가했습니다. 3월 수출은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따른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3.5% 감소했습니다. 2월 수입은 내수 회복 및 설비투자 증가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8.6% 증가했습니다.
철강
→ 올 2월 생산은 아세안 등으로의 수출물량 확대에도 불구하고 내수 부진 및 철강기업들의 재고조정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7.2% 감소했습니다. 3월 수출은 전년동월 수준의 수출물량 유지에도 불구하고 수출단가가 하락하며 전년동월비 10.6% 감소했습니다. 2월 수입은 내수 부진에 따른 수요 감소, 반덤핑 제소 및 수입재 가격 상승에 따른 수입물량 감소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15.1% 감소했습니다.
정유
→ 2월 생산은 가동률 축소 및 정기 유지보수로 인해 전년동월비 5.8% 감소했습니다. 3월 수출액은 단가 하락 및 정기보수 규모 확대에 따른 물량 축소가 지속되며 전년동월비 약 13억 달러 감소했습니다.
무선통신기기
→ 3월 수출은 세계적으로 AI 스마트폰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이에 요구되는 국내 고부가 스마트폰 부품 수출이 증가하면서 전년동월비 13.8% 증가했습니다. 2월 생산은 수출 증가에 힘입어 전년동월비 14.0%, 출하도 12.0%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가동률이 30.5% 크게 상승한 가운데 재고는 6.9% 감소했습니다. 2월 수입은 전년동월비 1.5% 소폭 증가하였는데, 이는 스마트폰이 35.8% 큰 폭 증가하였으나 부품과 무선중계기 등이 크게 감소한 데 기인했습니다.
반도체
→ 3월 수출액은 130억 5,900억 달러로 전년동월비 11.9% 증가하며 1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되어 반도체 수출 호조세가 지속되었습니다. 2월 반도체 생산지수는 157.3으로 전년동월비 11.6% 증가하였고 전월비 또한 0.7% 증가하여 증가세를 유지했습니다.
디스플레이
→ 올 3월 수출은 주요 수요처의 AI도입으로 전년동기비 2.9% 증가했습니다. 2월 생산지수는 62.3으로 전년동월비 0.8% 상승하였으며, 전월비로도 9.1% 상승했습니다.
※ 출처 : 산업연구원(kiet.re.kr)